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0)
음곡을 보하면 열이 꺼질까? 음곡을 보하는 처방과 음곡을 사하는 대표적 처방은 각각 간정격과 심포정격이다. 간정격(음곡보)은 간허증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그렇다면 간정격은 열이 나는 증상이 주증일까? 심포정격(음곡사)은 심포허증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그렇다면 심포정격은 한증으로 오한 등의 한증이 나는 증상이 주증일까? 음곡은 신경락의 수혈이다. 신장은 오행으로 수에 속하고 음곡혈은 수경락의 수혈이므로 몸의 열을 확실히 꺼주는 것이 확실하다고 말한다. 이건 반은 맞고 반은 틀린 이야기이며 궐음병으로써의 간정격과 심포정격의 기본내용도 모르고 그저 장상학, 오생으로의 간과 심포만을 이해하고 말하는 것이다.
오행으로써의 소장과 육기로써의 소장은 다르다. 수태양한수소장경을 오행으로 보면 화의 장기 그것도 양에 속하는 부에 속합니다. 그러므로 소장을 육부가운데 가장 열기가 많은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 오행론자들입니다. 하지만 한수로써의 소장은 찬물의 성질을 갖고 있는 장기이므로 오행으로 설명하는 양 중의 양의 장기, 소장의 화혈인 양곡이 대표적인 부의 화혈이 되는 것이 아닙니다. 임상에서 소장이 허한 것을 진단하는 요점과 논지가 다르며 사용되는 증상과 병증이 다를 수밖에 없는 것이 오행으로 접근해야 하는지 아니면 육기로 접근해야 하는지~ 제대로 된 관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소장을 보하는 소장정격이 해결하는 증상과 병증은 과연 한증일까요? 아니면 열증일까요? 이것을 알면 오행의 소장이 맞는지 육기의 소장이 맞는지 알게됩니다.
족삼리혈을 보하면? 족삼리혈을 보하면 어떤 결과가 생기는가? 족삼리혈은 족양명위경의 토혈입니다. 그리고 양명은 조금(燥金: 건조하며 단단하게 만드는 특성)이 특징입니다. 만약 몸이 뚱뚱하고 땀도 많이 흘리는 습한 체질의 사람이 속이 차서 간혹 묽은 변을 보면 속이 자주 미슥거리며 소화장애 등을 호소한다면 족삼리를 보하게 되면 위장의 기운이 좋아져서 몸의 부종도 빠지고 살도 빠지는 것입니다. 족삼리는 강장의 요혈이므로 살이 빠진 사람을 살이 찌우게 하는 혈이 아닙니다.
계지감초탕 계지감초탕은 계지 24~30g 감초 12g으로 이뤄진 처방입니다. 이 처방은 심장병에 주로 많이 사용하는 심장병약입니다. 심장이 두근두근 뛰어서 손으로 누르지 않으면 안 되므로 손으로 눌러 진정시킬 정도의 증상에 주로 사용됩니다. 잘 때는 두 손을 가슴에 모으고 자는 사람 또는 엎드려서 가슴을 압박한 채로 자는 사람입니다. 감기나 고열로 땀을 많이 흘린 후 나타나는 부정맥에도 많이 사용되는 처방입니다. 열이 많은 사람은 이 처방을 사용하면 열이 나기 때문에 추위를 많이 타고 낯빛이 창백한 사람으로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 차는 심장병환자에게만 사용할 수 있는 처방입니다. 계지와 감초는 네이버 등에서 쉽게 구매가 가능하므로 계지감초차로 자신에 맞게 응용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모든 약이나 약초는 부작용을 동반하..
태양병 계지탕과 방광정격 태양병지위병, 맥부, 두항강통이오한. 태양병이란 맥이 부하고 머리와 뒷목이 단단히 뭉쳐 아프고 오한이 존재하는 것이다.라고 상한론은 말하고 있다. 이것은 태양병이라고 하는 것이다. 태양병도 태양중풍과 태양상한으로 나뉘는데 이는 대개 땀이 나는 상황인지 땀이 전혀 안나는 상황인지에 따라 구분한다. 세상의 모든 감기와 유사한 질환 등의 초기 증상은 거의 90% 이상이 태양병으로 시작된다. 그런데 태양병을 치료하지 않고 갑자기 폐(수태음폐경)를 거론하면서 청폐열(폐의 열을 끄는 치료방법)을 거론한다. 태양병은 병의 위치가 몸의 표면이고 폐(태음병)은 병의 위치가 몸의 표면이 아닌 속병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폐를 운운하며 폐정격을 코로나, 독감, 사스 등에 사용해야 한다고 우기는 육기와 육경변증과 12경락의 이..
상한론의 접근방법 처방을 분석하여 방증에 근거하는 접근법 약물을 분석하여 약징에 근거하는 접근법 육경을 분석하여 육경변증에 근거하는 접근법 육경을 중심에 두고 약물과 처방의 경향성을 tip으로 하여 적방을 찾아가는 것이 내가 가고자 하는 상한의 길이며 사암침법의 길이다.
사암침법과 상한론에서 힌트를 얻다. 반하는 인체 모든 부위에 존재하는 담음이라는 독소를 제거하는 약물이다. 담음이란 수액대사를 거쳐 흡수와 배출을 하고 인체 스스로 해결하지 못해 체내 일정 부위에 머물러서 병독의 역할을 하여 질병이나 증상을 만들어 낸다. 그래서 담음은 위치에 따라서 이름이 현음, 지음 등으로 불리는 것이다. 그런데 담음을 제거하는 대표적인 약물은 반하이며 반하는 비, 위, 폐 등으로 귀경하므로 비위폐는 육기요법에서 습도조절시스템으로 담음으로 생긴 모든 증상에는 반하, 생강 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사암침법이나 육기요법에서도 비, 위, 폐, 대장 등을 통해 담음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한열허실 등의 구분에 따라 반하가 어떤 다른 약물과 합쳐질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마치 갈근가반하탕처럼...
사암침법 그리고 낙혈, 원혈의 응용 사암침법을 자세히 보면 장부병을 다스리는 처방과 경락병을 치료하는 처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암침법의 장점은 장부병을 통해 경락병을 다스릴 수 있다는 것이며 원혈만으로 다스리기 힘든 장부병을 보다 더 쉽게 해결한다는 것이다. 원혈의 장부의 원기를 다스리는 혈이며 낙혈은 경락병을 다스리는 혈이라고 이해한다면 원형과 낙혈을 사암침법과 같이 사용하면 그 효과가 배가가 될 수 있을 것이나 보사를 사암침법의 원리와 다르게 응용한다면 오히려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원락배혈의 법칙은 신병과 구병에 구분에 의거하여 달라져야 하는데 이는 구병의 원인은 장부병이고 신병은 경락병이기 때문이다.
당뇨족과 사암침법 육기요법을 배우신 우리 회원의 승전보가 들려왔다. 당뇨족으로 발을 절단할 위기에 있던 환자를 대장정격, 소장정격, 위승격, 폐정격 등의 처방을 시스템진단에 의거하여 3개월 동안 노력을 하여 해결을 하였다고 합니다. 사암도인의 육기, 육경적 맥을 잇는다고 자부하는 육기요법입니다/
상한론과 사암침법 중국에서도 상한론과 침법을 상한론의 조문과 방증에 의거하여 연결한 서적들이 매우 적다. 있다고 해도 육기적이론체계가 아닌 오행적 사고가 들어가 있고 원혈, 낙혈 등을 운용한 것들이 많아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가 되는 경우가 많다. 사암침법처럼 한열허실이 명확하지 않다. 그래서 상한론의 육경변증을 사암침법에 육기적시각으로 접근하여 사암침법을 재해석해보면 재미있을 것 같다. 이것이 내가 추구하는 동양의학이다.